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이슈 · 토픽

세계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란?

by 두우우부 2023. 10. 6.
반응형

세계 인구는 80억 명에 달해 증가 일로를 걷고 있습니다만, 한국이나 일본과 같이 해마다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국가도 존재합니다. 인구 감소가 심해지면 나라와 지역은 어떻게 바뀌는지, 대책법이 있는지에 대해 과학계 YouTube 채널의 Kurzgesagt가 해설했습니다.

Why Korea is Dying Out - YouTube



인구는 오랫동안 역병과 전쟁의 영향으로 천천히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산업혁명에 의해 급격한 진보를 맞이한 이후에는 지수함수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1999년에는 60억 명, 그 후로 불과 24년 후에는 80억 명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인구 증가는 적어도 208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Kurzgesagt는 "이 예측은 인간의 출생률을 너무 낙관적으로만 보고 있다"라고 지적합니다.



현재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부부가 평균적으로 두 명의 아이를 낳아야 합니다. 이 수가 많으면 인구가 증가하고 적으면 감소합니다. 이 숫자가 1 미만인 유일한 나라가 한국입니다.



2022년 시점에서 한국의 출생률은 0.8로 세계 최저입니다.



이것은, 50 커플(100명)의 남녀로부터 태어나는 아이가 40명으로, 그 40명이 결혼 적령기가 되고 나서 낳는 아이가 16명으로, 그 16명이 낳는 아이는 6명으로...
이렇게 다음 계산으로 이어집니다.



이로 인해 한국 인구는 2100년까지 1950년경의 수준까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전 인구로 돌아갈 뿐"이라고 낙관적인 관점도 있지만, 문제는 인구 구성에 있습니다. 1950년 한국 연령의 중앙값은 18세였습니다.



이 값은 2023년에 45세가 되고, 2100년에는 59세가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한국은 고령자의 나라가 됩니다.



중국도 비켜갈 수 없습니다. 중국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폭발적으로 인구가 증가했지만 인구증대를 둔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한 자녀 정책 등도 있어서 각 가정이 소수의 가족을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중국의 출생률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도 2100년까지 인구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의 출생률은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낮지만, 마찬가지로 일본도 낮은 수준입니다.



유럽으로 시점을 옮겨 보면, 유럽도 아시아와 마찬가지로 출생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감소는 보다 느긋한 페이스입니다. 이것은 이민자가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민의 대부분이 출생률이 낮은 나라에서 흘러 온다는 또 다른 문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민의 대부분은 독일과 같은 경제적으로 강한 나라로 이주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인구의 감소는 가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유럽의 평균 연령은 46세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 중 하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동 북부와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출생률이 여전히 높고 2를 웃돌고 있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한편 유엔은 아프리카 인구가 2100년까지 7억 3,300만 명이 될 것이라던 예측을 5억 4,600만 명으로 낮추고 있어, 예상보다 빨리 출생률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건전한 사회에서는 많고 다양한 일자리를 감당할 수 있는 연령대의 사람들이 무엇보다도 필요합니다. 과거 세계에서는 많은 젊은이들이 소수의 노인을 돌보는 사회 구조가 성립되었지만, 많은 노인을 소수의 젊은이가 지원하는 역전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습니다.



비록 부유한 나라라도 젊은이들의 경제적 부담은 헤아릴 수 없고, 결국은 지속 불가능하게 됩니다. 중국을 예로 들자면 생산연령 인구는 2050년까지 20%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그 수는 최대 2억 명에 이릅니다.



생산 연령 인구의 감소는 우선 인프라의 쇠퇴를 초래합니다. 이것은 독일과 일본, 한국의 시골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의 또 다른 위험은 선거에 나온 사람이 노인의 목소리를 듣기 쉽다는 것입니다. 노인을 위해 혁신보다는 부의 보전을 추구한다면 대규모 투자와 참신한 아이디어가 필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Kurzgesagt는 "출생률 저하를 막는 가장 쉬운 수단은 이민을 초래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만, 이민자의 출생률은 3세대에 걸쳐 저하되기 때문에,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이민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이민 유입원 국가의 인구도 고려하면, 결국 지속 가능한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이민자들은 또한 사회적 또는 문화적 충돌과 긴장을 낳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문화에서 보편적인 현상입니다.



또한, 육아에 의해 경력 단절 문제나, 최근 급속하게 유행하고 있는 개인주의로 인해 아예 파트너를 찾지 않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Kurzgesagt는 "적어도 부모의 삶을 더 풍요롭게 하거나 주택을 저렴하게 만드는 등, 육아가 경력 단절을 낳는 현상을 막아야 합니다. 우리는 가족에 대해 더 긍정적인 문화를 구축해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다 알지만 그게 쉬운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