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 인공지능/AI 뉴스

AI를 탑재한 중국의 차세대 '섹스로봇'이 시장을 석권하는 미래가 바로 코 앞?

by 두우우부 2024. 6. 21.
반응형

 
 
여친 대신 음성 메시지나 셀카를 보내주는 채팅 AI 등, 채팅봇과의 교류를 즐길 수 있는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습니다만, 이러한 AI와의 만남은 어디까지나 플라토닉 한 관계였습니다.

중국 기업에서 채팅 AI를 탑재하고, 물리적이고 인터랙티브 한 교류도 가능한 섹스 로봇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China's next-gen sexbots powered by AI are about to hit the shelves | South China Morning Post

China’s next-gen sexbots powered by AI about to hit the shelves

Future models ‘react with both movements and speech, significantly enhancing user experience by focusing on emotional connection’, producer says.

www.scmp.com


섹스 로봇에 탑재할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있다고 보도한 것은, 중국의 심천에 본거지를 둔 대형 더치와이프 메이커 · Starpery Technology입니다. 탑재 예정 AI는 남성형과 여성형이 준비되어 있어, 2024년 중에 제1호가 완성될 예정입니다.

이 회사의 에반 리 CEO는 홍콩 미디어인 South China Morning Post에 "우리는 목소리와 몸으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섹스 인형을 개발하고 있으며, 프로토타입은 2024년 8월까지 완성될 예정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금속 프레임과 실리콘 외장이 있는 기존의 더치와이프는 단순한 움직임만 가능합니다. 한편, AI 모델과 센서를 탑재한 차세대 섹스 인형은 몸짓과 말로 답하고 기본적인 대화를 넘어서는 정서적 연결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 경험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by starperydollofficial


Starpery Technology는 지금까지 해외 시장에 주력해 왔지만, 향후 중국 국내 시장에도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리 씨에 따르면, 중국은 이런 화제를 꺼리는 보수적인 사회인데도 세계 최대의 섹스 인형 시장이기도 하며, 합계 매출은 미국, 일본, 독일의 합계를 상회한다고 합니다.


역시 중국



Starpery Technology의 로드맵에는 가사, 장애인 지원, 노인 간호를 할 수 있는 로봇도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2025년까지 장애인을 대상으로 복잡한 돌봄 기능도 가능한 최초의  「스마트 서비스 로봇」 의 발매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30년까지는 인간을 대신해 위험한 일을 해낼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거 단순히 비웃을 일은 아니군요...
역시 중국의 AI 굴기는 엄청납니다.



이러한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용량과 인공 근육이라는 두 가지 주요 과제가 있습니다. 전기 자동차와 달리 인간형 로봇에는 대형 배터리를 장착할 공간이 없으므로 로봇을 움직이려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해야 합니다.

또한 현실감을 유지하기 위해 로봇의 무게는 40kg까지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무게는 현행 모터에 있어서는 부하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넘어지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Starpery Technology는 우선 소재와 제조 공정을 재검토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해, 2023년 7월에는 172cm로 불과 29kg의 인형이 완성되었습니다. 그래도, 가사 로봇을 만들 수 있는 수준이 되려면 10년은 걸린다고 리 씨는 보고 있습니다.

by starperydollofficial


이러한 기술적 문제 외에도 AI 섹스 로봇은 윤리적인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에 대한 비판 중에는 "성적 또는 정서적 만족감을 얻기 위해 AI 컴패니언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진짜 인간끼리의 연결이 희미해져 사용자가 진짜 인간과 건전한 관계를 구축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또한 AI의 급속한 발전은 기존의 법률과 규제의 틀을 넘어서 사용과 소유권, 제조사와 사용자의 책임 등에 관한 법적 그레이존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체면보다 내실을 중시하는
중국의 문화 때문인지...
확실히 이쪽 분야를 타깃으로 기술을 개발하면
연구비 걱정 없이 돈도 잘 벌면서
개발속도도 엄청 빨라질 것 같습니다. ㅋㅋㅋ
저 떼놈(되놈)들 쯧쯧하고 겉으로 욕하기는 했지만
물불 안 가리고 뛰어드는 빠른 실행력이 부럽긴 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