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이슈 · 토픽

전 세계에서 사랑받고 있는「쌀」 의 알려지지 않은 문제란?

by 두우우부 2024. 1. 29.
반응형

한국인의 식생활에 빠뜨릴 수 없는 쌀은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이나 아프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도 먹고 있습니다. 그러한 쌀의 역사나, 벼농사가 지구에 가져오는 환경 부하에 대해서, 교육계 YouTube 채널인 TED-Ed가 애니메이션으로 해설하고 있습니다.

Why is rice so popular? - Carolyn Beans - YouTube

 

얼마나 쌀이 세계에서 사랑받고 있는가 하면 매년 소비되는 쌀과 전 세계 인구를 저울에 달면 쌀이 압승할 정도입니다.



쌀은 인류의 연간 소비 칼로리의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의 비빔밥, 나이지리아의 조로프, 인도의 비리아니, 스페인의 빠에야 등 다양한 요리의 주 재료입니다.



벼농사의 기원은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에 살았던 초기 농민들이 쌀을 작물화한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최초로 등장한 것은 아시아 쌀로, 많은 식물 유전학자는 현재의 중국이 기원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만 년 이상 전, 현재의 중국에 해당하는 지역에 사는 유목민들이 벼의 원종의 씨를 모아 먹기 시작해, 약 9000년 전에는 그 씨를 심어 농촌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벼농사에서 수확 때마다 곡물이 크고 풍부한 것, 향기로운 것 등 자신들이 가장 좋아하는 벼 씨를 골라 심었습니다.



이 품종 개량의 반복에 의해, 수천 년에 걸쳐서 다양한 품종의 아시아 쌀이 만들어져 갔습니다.



3000년 전에는 아프리카에서도 벼가 작물화되었습니다만, 현대는 벼농사가 이루어지는 것은 서아프리카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남미에서도 4000년 전에 벼가 작물화되었지만, 유럽인의 습격에 의해 끊어졌습니다.



이렇게 쌀은 널리 보급되어 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의 식생활과 문화의 근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도와 네팔의 힌두교도들은 유아가 처음으로 쌀을 맛보는 '안나프라샨'이라는 의식으로 축하합니다.



쌀이 이렇게 보급된 이유는 벼가 열대에서 온대까지 폭넓은 기후에서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일반적인 식물은 토양의 산소가 없으면 뿌리의 세포가 호흡할 수 없지만 반수생식물인 벼의 뿌리는 공기의 길이 있기 때문에, 수몰된 토양에서도 생장할 수 있습니다.



벼와 경쟁하는 잡초의 대부분이 수중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우위를 이용해, 쌀의 생산자는 전통적으로 논에 벼를 심어 왔습니다.



이로 인해 벼는 높은 수율을 자랑하지만 논은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합니다. 그 결과, 세계의 농지 면적의 11%밖에 없는 논이, 세계의 관개용수, 즉 농업에 사용하는 물의 3분의 1을 소비하고 있다는 것.



게다가 논은 온실가스인 메탄을 발생시킵니다.



그 원인은 물에 서식하는 메탄 생성균입니다. 이 세균은 지구상에 산소가 거의 없는 시대에 진화했기 때문에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잘 번식합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의 25배나 되는 온실 효과가 있기 때문에, 소에 의해 대량으로 메탄을 방출하는 축산업이 문제시되고 있습니다만, 물을 뿌린 논으로부터도 메탄가스가 발생합니다.



벼농사는 인위적인 메탄 배출의 약 12%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좋은 소식도 있습니다. 벼가 자라난 후에는 물을 계속 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 것입니다.



연구자와 생산자는 수확량을 유지하면서 메탄을 삭감하는 방법을 계속 찾고 있으며, 그 유망한 기법 중 하나가 「습윤 · 건조 교호 관개법」입니다. 이것은 정기적으로 논의 수위를 낮추어 메탄생성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이 농법에 의해 물의 사용량은 30%, 메탄의 배출량은 30~70% 삭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동차 배기가스 등 온실가스는 사람이 운영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벼농사를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치명적인 온난화를 피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문제 중 하나일 뿐입니다.



영상 말미에서, "지금도 많은 벼농사가 시즌 중에 계속 논에 물을 담그고 있습니다. 수천 년의 관습을 바꾸려면 큰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만, 지구 환경을 건강하게 유지하면서 우리 식탁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식을 뒤집는 것이 필요합니다."라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