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36

[데즈카 오사무 - 069] 0(제로) 맨 스토리 꼬리가 달린 인류 '0맨'과 인간의 대립을 그린 장편 SF입니다. 인도의 두메산골에서 일본인에게 주워진 갓난아기는, 릭키라는 이름으로 도쿄에서 자랍니다. 릭키는 선천적으로 큰 꼬리가 달려 있었습니다. 사실 릭키는 힘도 지능도 인간을 뛰어넘는 다람쥐에 가까운 '0맨' 이라는 생물이었습니다. 친 부모님을 만난 릭키는 '0맨'이 히말라야의 지하에 나라를 만들어 살고 있으며, 2만 시간 후면 인간은 멸망하고 '0맨'의 천하가 될 거라는 걸 알게 됩니다. 릭키가 방문한 '0맨'의 나라는, 사람을 혐오하는 대승관이란 독재자에게 지배되고 있었고, 도쿄는 대승관의 부하인 엔마 대왕에 의해 인간 지배의 전선기지가 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인간에게서 자라난 릭키는, '0맨' 이면서도 인간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 활약.. 2023. 10. 29.
[데즈카 오사무 - 068] 스릴 박사 스토리 스릴러 팬인 부자지간이, 수많은 난사건을 해결한다는 탐정 활극입니다. 의사인 스릴러 박사와 그 아들 켄타, 그리고 켄타의 애견 지프가 차례로 사건에 말려들어, 그것을 멋진 팀웍으로 해결해 나갑니다. 힌즈국의 왕 암살을 위해 비서관이 뱃속에 시한폭탄을 숨겼던 이야기, 소녀 맹수 조련사가 독으로 미친 사자에게 습격당하는 이야기, 가면을 쓴 식물원 원장이 벌집에 마약을 숨기고 있었던 이야기 등, 여러 사건마다 켄타의 명추리와 지프의 행동력, 스릴 박사의 판단력이 빛납니다. 작품에 대하여 일본 최초의 소년 주간지로서 1959년 3월에 코단샤의 「주간 소년 매거진」이 창간되어 다음 4월에는 라이벌 회사인 쇼우갓칸에서도 「주간 소년 선데이」가 창간되었습니다. 그 이후, 소년만화 잡지는 월간지의 시대에서 주간.. 2023. 10. 29.
[데즈카 오사무 - 067] 슈퍼 태평기 스토리 에도시대 말기의 일본에서 자란 미래 소년이, 기상천외한 발명품을 만들어 악인과 싸우는 SF활극입니다.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에서 온 카가미박사 부부는, 타임머신의 사고로 인해 에도시대에서 갓난아기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그 갓난아기는, 여자 소매치기 콘냐크노 오츠타에에게 주워져 코마스케라는 이름으로 자라게 됩니다. 그리고 수년 후, 건강한 소년으로 성장한 코마스케의 앞에, 부모라고 자칭하는 이상한 남녀가 나타나고, 코마스케는 그들로부터 미래의 과학책을 받습니다. 코마스케는, 일하러 간 헤노야에서, 심술쟁이 점장에게 괴롭힘을 당하지만, 곧 미래의 책을 참고해 만든 발명품으로 악당들을 혼내주고, 헤노야의 점장인 헤노야 모헤이지의 눈에 들어 학비를 지원받게 됩니다. 한편, 코마스케를 위해서 도둑질을 그만뒀.. 2023. 10. 29.
[데즈카 오사무 - 066] 필름은 살아있다 스토리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 꿈과 정열을 기울이는 젊은이의 모습을 그린 청춘 만화입니다. 애니메이션을 만들 꿈을 가지고 상경한 몽상가 소년, 미야모토 무사시는 도쿄에서 애니메이션 회사를 방문합니다. 그러나 베테랑 애니메이터 단마츠마로부터, 「그림의 움직임이 죽어 있다」라는 지적을 받습니다. 그런 가운데 미야모토 무사시는, 사사키 코지로라는 만화영화에 뜻을 둔 소년과 만나게 됩니다. 처음엔 서로 의기투합하지만, 결국 싸우고 헤어져, 이후 라이벌이 됩니다. 무사시는, 야쿠자와 얽히게 되어, 야쿠자 두목의 딸 오츠를 알게 됩니다만, 야쿠자의 보복으로, 그려 두었던 5만 매의 동화와 촬영장비가 불태워지고, 눈에 상처를 입게 됩니다. 그렇게 상심해 있던 무사시를 격려해 준 것은 고향에 있는 애마, 아오의 환영이었.. 2023. 10. 29.
[데즈카 오사무 - 065] 쌍둥이 기사 스토리 사파이어 공주가 낳은 쌍둥이 남매가 활약하는, 리본의 기사 [소녀 클럽판]의 속편입니다. 실버랜드의 왕녀님이 된 사파이어는, 이웃나라의 왕자 프란츠와 결혼하고, 데이지 왕자와 비올렛타 공주의 쌍둥이를 낳았습니다. 그런데, 다리야 공작부인의 음모에 의해 데이지 왕자는 숲 속에 버려지게 됩니다. 성에서는 데이지 왕자가 사라진 것을 숨기기 위해, 비올렛타 공주가 1일 간격으로 공주와 왕자의 모습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 비밀을 다리야 공작이 눈치채고, 임금님과 사파이어 왕녀, 그리고 비올렛타 공주는 북쪽의 탑에 갇혀 버립니다. 비올렛타 공주는 오빠 데이지 왕자를 찾기 위해, 사내아이로 모습을 바꾸고 백조를 타고 북쪽의 탑을 탈출합니다. 작품에 대하여 1953년부터 55년에 걸쳐 발표된 「리본의 기사[.. 2023. 10. 29.
[데즈카 오사무 - 064] 라이온 북스(오모시로 북 판) 스토리 각 화 완결의 단편 형식으로, SF적인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전개한 연작 시리즈입니다. 금성 탐험에서 돌아온 탐험대가 본 것은 황폐한 지구( 제1화 「다가올 인류」), 수많은 우주인들의 인생이 교차하는 우주공항에서 소년이 흉악범에게 맞서 싸움( 제 3~4화,「우주 공항」), 이렇게 다양한 시대의 다양한 설정 속에서, 데즈카 오사무의 SF적 발상이 종횡무진 전개되는 시리즈입니다. 작품에 대하여 이 시리즈는 집영사의 의뢰에 의해 매월 1권씩 월간잡지의 별책부록으로서 1년에 걸쳐서 발표된 작품입니다. 태평양전쟁 이전에 활약한 초기의 공상과학소설작가, 우미노 쥬우사(1897 ~ 1949)가 죽은 뒤, 전후의 일본엔 본격적인 SF작품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때 발표된 것이 이 시리즈였습.. 2023. 10. 29.
[데즈카 오사무 - 063] 불새(이집트, 그리스・로마편) 스토리 영원한 생명, 불새를 중심으로 하여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를 무대로 그려진 역사 드라마입니다. 불새의 생혈을 마셔 3천 년의 생명을 가지게 된 왕자 크라브와 노예의 딸 다이아가, 죽음과 소생을 반복하며 다양한 시대와 운명의 역사 속에서, 만남과 이별을 반복합니다. 한편, 갓난아기 불새의 성장을 지켜보며 돌보는 것은 역시 불새의 생혈을 마시고 불로불사가 된 토끼 포포, 거북이 노로, 그리고 여우 요타였습니다. 작품에 대하여 미완이 된 「만화소년」의 「불새 - 여명편」으로부터 정확히 1년 후에, 잡지 「소녀클럽」에 연재된 「불새」의 제2부입니다. 다만 이것은 「소녀클럽」에 게재된 3편 만으로 완결되고 있어, 「만화소년판」의 여명편과도, 이후의 「COM판」이후의 작품과도, 내용면에서 이어지는 부분은 없.. 2023. 10. 29.
[데즈카 오사무 - 062] 대홍수 시대 스토리 대홍수에 의해 문명이 해저에 가라앉아 버렸다는 구약 성서의 노아의 방주 전설을 가까운 미래의 일본에 옮겨 그린 SF단편입니다. 타이지 소년은, 군인인 형 사메오가 보관하고 있던 원자력 요새의 설계도를 처분하다가 독이 퍼져 뇌에 이상을 일으켜 병원에 입원하게 됩니다. 드디어, 북극해상에 건설 중인 원자력 요새가 대폭발을 일으켜, 머지않아 일본에 대 해일이 밀려오게 됩니다. 그런데 타이지는, 탈주범들에 의해 병실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해일이 오는 것을 몰랐습니다. 밖에 나와 보니 거리는 벌써 텅 비어있었습니다. 헬리콥터로 남은 사람을 찾으러 온 사메오도 잡혀, 일동은 빌딩의 옥상 위에 몰려있었습니다. 그때, 타이지가 구약 성서에 나오는 방주의 전설을 생각해 내, 지금 있는 재료들을 사용해 방주를 만.. 2023. 10. 28.
[데즈카 오사무 - 061] 유성왕자 스토리 수수께끼의 중학생 아마쿠사 테츠타로가 국제적인 음모에 맞서는 모험 활극입니다. 영화 「유성 왕자」에서 엑스트라로 일하는 중학생, 아마쿠사 테츠타로에게는 비밀이 있습니다. 「유성 왕자」의 주연을 맡게 된 잊혀가는 스타, 카츠라 류타로는 데츠타로에 흥미를 갖습니다. 한편, 데츠타로는 학교의 노리오와 친구가 되어, 불량배 두목을 갱생시키는 등의 일을 하다가 노리오의 형, 타지마 박사가 국제 스파이단에게 노려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데츠타로는 타지마 박사를 안전한 자신의 나라로 데려가기로 합니다. 사실 데츠타로는 남쪽의 작은 섬나라, 남십자(싸우스 크로스) 공화국의 왕자였습니다. 그러나 결국 그 낙원에도, ○국과 △국의 첩보원들의 마수가 닥쳐옵니다. 데츠타로는 낙원을 지키기 위해 카츠라 류.. 2023. 10. 28.
「언어를 일반화하는 인간과 같은 능력을 가진 신경망」의 등장으로 AI에 혁신이 일어날 가능성 언어에 있어서의 「일반화」를 인간처럼 실시할 수 있는 신경망의 개발에 성공했다고, 2023년 10월 25일 과학지 Nature에 게재된 논문에서 보고되었습니다.일반화(generalization) 추상화의 한 형태로, 특정 실례의 공통 특성을 일반적인 개념이나 주장으로서 정식화하는 것입니다. 일반화에서는 도메인과 요소의 집합과 그 요소에 공통적인 하나 이상의 공통 특성의 존재를 가정합니다(즉, 개념 모델을 만듭니다). 따라서 일반화는(특히 논리학, 수학, 과학 분야에서) 모든 효과적인 연역적 추론의 본질적인 기초이며 일반화가 어떤 상황에서도 참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검증 과정이 필요합니다. ChatGPT같이 인간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채팅봇도 언어의 일반화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 신경망의 등.. 2023. 10.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