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36

[딥러닝 입문 - 3] 미분의 기초 (1/3) 미분의 기초 3.1 미분과 함수 최소화의 관계 앞장에서 미분이 목적 함수의 최소화에 도움이 된다고 소개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먼저 구체적인 예를 통하여 그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해 봅시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아래로 오목한 형태를 한 함수가 어디서 최소값을 취할지 찾는 문제를 생각해 봅시다. 적당한 점 θ1에서 이 함수의 그래프에 접하는 직선(접선)을 살펴봅시다(※주석 1). 만일 이 접선의 기울기가 +3, 즉, 양수였다고 합시다. 이때, 접선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높아지고 반대로 왼쪽으로 갈수록 낮아집니다. θ1의 주변에서는 함수의 그래프와 접선이 아주 가까워서, 점과 선의 구분이 안 될 정도입니다. 함수 역시 접선처럼 θ1의 오른쪽은 증가하고 왼쪽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2020. 7. 10.
[딥러닝 입문 - 2] 머신 러닝에 사용되는 수학 다음 장부터 3회에 걸쳐 딥러닝을 포함한 머신 러닝에 필요한 수학의 기초로 '미분', '선형 대수학', '확률 통계'의 3가지에 대한 요점을 짧게 소개하겠습니다. 그 전에, 이 장에서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의 개념에 대해 큰 틀을 잡고, 어느 부분에서 각 항목이 등장하는지 파악해 둡시다. 2.1 기계 학습이란? 기계 학습은 주어진 데이터에서 알 수 없는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 규칙이나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지의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예측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영역입니다. 기계 학습은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화상 인식, 음성 인식, 문서 분류, 의료 진단, 스팸 메일 탐지, 상품 추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2. 지도 학습.. 2020. 7. 7.
[딥러닝 입문 - 1] 딥러닝 시작하기 이 튜토리얼은 기계 학습과 딥러닝의 구조 및 사용법을 이해하고자 하는 대학 학부생 이상을 대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기계 학습을 배우고 시작하려고 한다면 어느 정도 선형 대수학과 확률 통계 등 수학의 지식에서부터 프로그래밍 지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수학 및 프로그래밍 언어에 익숙하지 않으면 기계 학습을 배울 수 없는가 하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습니다. 이 튜토리얼은 기계 학습과 딥러닝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이 최소한의 수학적 지식과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시작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 자료는 단지 기계 학습과 딥러닝에 입문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습니다. 초심자 분들이 "무엇부터 배우고 시작하면 좋을까?"라는 망설임 없이 학습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 자료입니다. 또한,.. 2020. 7. 4.
양자 컴퓨터여, 나를 더 두근거리게 해줘 (2/9) 공상의 하드웨어만으로 알고리즘 연구는 계속되어 왔다. 그런데, '양자 컴퓨터'를 Google 트렌드에서 조사한 결과는 이런 느낌이었습니다. 양자 컴퓨터의 기원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단지, 그들은 양자 컴퓨터의 가능성을 논의한 것이었습니다. 양자 컴퓨터는 물건(하드웨어)이 존재하지 않는데, 로직 및 알고리즘만 선행적으로 제안되었습니다. "실제 양자 컴퓨터가 물건이 될 것"이라고 세상에 납득시킨 것은 그 30년 후로, 2011년 캐나다의 기업인 D-Wave Systems 사의 'D-Wave'였습니다(단, 다음번에 얘기하겠지만, 이것은 양자 게이트가 아니라 양자 어닐링이었습니다). IBM, Google 등이 그 뒤를 이어 현재의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여기서 주목할만한 것은, 머릿속 상상일 뿐인 .. 2020. 7. 4.
Amazon이 AI를 활용한 코드 리뷰 도구 'CodeGuru'를 일반에 공개 AWS는 코드 품질 향상 및 버그 방지를 위한 권장 AI를 탑재한 개발자 도구 「CodeGuru」를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CodeGuru는 라스베이거스에서 2019년 12월에 개최된 Amazon Web Services(AWS) re : Invent 2019 콘퍼런스에서 처음 공개되어, 2020년 6월 30일부터, 사용량에 따른 가격정책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일반에 공개되었습니다. 코드 리뷰 시점에 배포된 응용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할 개발자를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또한 개발자의 실수를 놓치지 않고, 버그와 성능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CodeGuru는, 표면적으로 기존의 통합개발환경(IDE)과 통합하여 가장 인기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10,000개 이상의 AI 알고리즘을 이.. 2020. 7. 3.
일본에서 60만 건의 구인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과학자의 평균 연봉과 채용 조건을 분석 연구직, 기술직, 개발직, 전문직 등의 채용 플랫폼인 '전직 내비게이션', 'SCOPE' 등을 제공하는 astamuse(아스타 뮤제) 주식회사는 요즘 채용 조건이 가장 까다로운 직종 중 하나인 '데이터 과학자'의 자격요건을 시각화했습니다. 이과 전문으로 채용을 실시하는 「전직 내비게이션」의 약 400개 사이트 및 「SCOPE」에 게재되어 있는 아스타 뮤제가 보유한 약 60만 건의 구인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일본 데이터 과학자의 평균 연봉 Min : 466.3만 엔 Max : 844.7만 엔 데이터 과학자의 구인정보에서 나온 연봉의 하한 평균은 466.3만 엔이었습니다. 평균을 보면 400만 엔 ~ 450만 엔(29.7%), 500만 엔 ~ 550만 엔(19.8%)이 많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국세청이 .. 2020. 7. 1.
웹 페이지를 읽는 사람의 시선은 어떻게 움직일까? 웹 디자인 및 콘텐츠 작성에 도움이 되는 조사 결과를 공개 중 웹 페이지를 보는 사람의 시선을 추적한 2006년도의 조사에서 '인터넷에 공개된 기사의 문장을 끝까지 제대로 읽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로부터 10년 이상 경과하여 인터넷은 크게 변화했지만, 사람들의 웹 페이지에 대한 견해는 변화했을까? 하는, 새로운 조사 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과거에는 별로 볼 수 없었던 웹 사이트의 레이아웃과 시선 패턴의 존재가 밝혀지고 있으며, 인터넷에서 물건을 쓰고 출판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내용이 되고 있습니다. How People Read Online : New and Old Findings How People Read Online: New and Old Findings Looking back at findings from a series of .. 2020. 6. 30.
코드 없는 AI 플랫폼, 사용해야 하나요? 그 한계와 기회 저자 Alexandre Gonfalonieri 씨는 프랑스 파리에서 AI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습니다. 그는 최근 Medium에 투고한 기사 '노 코드 AI 플랫폼을 사용해야 합니까? 그 한계와 기회'에서는 코딩 없이 AI 모델로 개발할 수 있는 '노 코드 AI 플랫폼'의 효용과 한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노 코드 AI 플랫폼은 세계 각지에서 여러 가지가 출시되어 붐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노 코드 AI 플랫폼을 평가한 후, 그 효용과 한계를 고찰하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의 사용 시 최대 효용은 AI 비 전문가에게 초보적인 개발 능력을 제공하여, 그들도 간단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Citizen developer'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AI의 Citizen developer가.. 2020. 6. 28.
양자 컴퓨터여, 나를 더 두근거리게 해줘 (1/9) 업계의 트렌드 기술의 명칭은 '버즈 워드(buzzword: 언론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행어)'가 될 때가 많습니다. M2M, 유비쿼터스, Web 2.0, 그리고 'AI'... 이해할 수 없는 기술이 등장하면 거기에 가장 그럴싸한 이름을 붙이고 아는 척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름은 세상을 춤추게 하고, 우리 기술자들을 농락한 끝에 결국 무책임하게 사라져 갑니다.(한마디의 사과도 없이...) 지금 여기서, 당신의 '아는 척'을 냉혹하게 따지며 규탄합니다. 왠지 전혀 즐길 수 없는 양자 컴퓨터 공부 최근 이 연재를 위해 상용 양자 컴퓨터 책을 반복해서 읽고 있습니다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즐겁지 않습니다. 그것은 양자 컴퓨터 책을 쓰는 사람도 알고 있는 것 같았는데, 어떻게든 독자에게 관심을 갖게 .. 2020. 6. 26.
AI로 치매의 치료 계획을 생성하는 미국 스타트업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시, 로리에 위치한 스타트업 'uMETHOD'가 약이 아닌 AI를 활용하여 알츠하이머 병에 대처하는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uMETHOD - Precision Medicine for Chronic Diseases Precision medicine provides a new path for treating chronic diseases. Our mission is to provide hope to those who may have lost faith in finding solutions for complex, chronic diseases. umethod.com 이 방법은 'ExvND METHOD'라고 해서, 의사가 개인에 특화된 케어 플랜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따.. 2020. 6. 25.
반응형